지구과학 7

선스펙트럼 spectral line (흡수, 방출 스펙트럼) feat. 태양의 대기

선스펙트럼 spectral line 고온의 가스는 에너지가 높은 상태라는 얘기로, 전이된 전자가 떨어지면서 에너지를 특정 파장의 전자기파로 방출하는 것이 방출스펙트럼,광원이 저온 가스를 통과하면 특정 파장의 전자기파를 흡수하여 전자를 전이시키기 때문에,빵꾸 뚫린것마냥 연속스펙트럼이 끊긴것처럼 보이는데 이를 흡수 스펙트럼. 연속스펙트럼: ex.태양의 광구선스펙트럼(흡수스펙트럼): 수십~수천K의 가스선스펙트럼(방출스펙트럼): 수만~수백만K의 가스​그런데 태양의 대기인 채층과 코로나는 고온의 가스인데 흡수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이유는,밀도와 관련이 있는데, 태양의 대기에 있는 고온의 가스는 밀도가 낮고,밀도가 낮은 고온의 가스(ex.채층, 코로나)에서는 흡수와 방출이 모두 일어남.방출 스펙트럼은 광구에서의 연속..

물리학 2025.03.25

세상에서 가장 깊은 구멍

지구 내부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직접적인 방법과 간접적인 방법으로 나뉘는데,직접적인 방법은 시추가 대표적입니다. 땅을 직접 파내려가면서 지구의 지질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달에도 날라가는 과학기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땅속에 깊이 들어가는 일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가장 깊게 시추한 사례는,코라 초심도 시추공(Кольская сверхглубокая скважина)입니다.과거 소련이 코라 반도(사진 빨간 부분)에서 1970년에서 1994년까지 24년간 12,226m를 파내려갔습니다.해양지각인 경우에는 맨틀도 접할 수 있는 깊이지만,대륙지각에서 시추를 했기 때문에 맨틀까지 도달하지는 못하고 대륙지각의 1/3정도까지만 파냈습니다.직경은 23cm 정도로 굉장히 작습니다. 뚜껑 닫아 놨네요.  마리아나..

지구과학 2025.01.04

뼈는 용암에 녹는가?

녹을 수도 있고, 안녹을 수도 있고! 뼈는 화합물로써 유기질(탄소화합물)과 무기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유기질은 콜라겐이 대표적으로 단백질이기 때문에 열에 민감하고, 300°C~400°C에서 분해됩니다.무기질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5(PO4)3OH)라는 물질로, 우리 말로는 수산화인회석으로 불리웁니다. 녹는점은 1100°C 정도 됩니다.화장터에서 800°C~1200°C의 온도에서 화장을 하는데 뼈의 무기성분은 남게 됩니다. 용암의 온도는 700°C~1200°C의 온도를 가집니다.용암의 온도와 뼈의 녹는점이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결국 뼈는 용암에 녹을 수도있고 녹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생명과학 2025.01.03

감휘각흑사정석 - 암석과 광물을 배우는 이유

중1제대로 과학을 배우기 시작하는 이 시기에,가장 먼저 배우는 과학이 암석과 광물입니다. ​근데 지금 생각해봐도하나도 중요해보이지 않는 암석과 광물을 왜 배우는걸까?사실, 공대에 진학한다한들 암석과 광물을 배우는 학과는 거의 없습니다.​그런데 왜 저딴걸 배우는거지? 이런 생각이 드는데,광물과 암석을 배우는 이유는 화합물을 배우기 위한 빌드업이라 생각합니다. ​암석을 이루는 것은 광물이기 때문에,암석은 구성요소보다 만들어지는 과정(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이 중요하고,광물은 광물을 구성하는 원소와 구조가 중요합니다.그리고 감람석, 휘석, 각섬석, 흑운모, 사장석, 정장석, 석영이라는 조암광물은결국 규소(실리콘)와 산소가 결합된 화합물입니다.지각을 구성하는 원소의 대부분이 규소와 산소이고,이 규소와 산소가 ..

지구과학 2024.12.08

대륙판이 해양판보다 더 두꺼운 이유

중1과정과 통합과학에서 등장하는 판구조론여기에 외우고 그냥 넘어가는 해양판과 대륙판의 두께에 대한 내용이 있는데,해양판이 대륙판보다 얇다는 이유는 설명은 나오지 않습니다.지구과학II에 등장하는 내용인데, 중딩이 알아듣게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일단 본 내용은 "지각평형설"로 설명을 합니다.밀도가 물보다 작은 물질이 물에 떠 있는 원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밀도가 작은 물질이 판, 물이 맨틀입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가설이 있는데,프레트설과 에어리설입니다.  프레트설은 바다와 육지를 구성하는 물질의 밀도가 다르다는 점에서.에어리설은 고도가 높은 육지 지각의 깊이가 더 깊다는 점에서 맞습니다.두 가설 모두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리다는 얘기입니다. ​물 위에 나무도막이 떠 있있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 그림으..

지구과학 2024.12.08

지각이 없는 목성형 행성의 크기를 어떻게 정의해?

가스형 행성은 지각이 없다면서?암석형 행성은 크기를 정의할 때 대기의 크기는 제외하는데,목성형 행성은 알 수 없는 코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그냥 행성 자체가 대기 덩어리라... 크기를 어떻게 정의하는가?어디까지를 그 행성의 크기로 봐야하는거지? 답은, 압력과 투과도!​행성의 압력이 지구의 지각에서의 압력과 같은,1bar(약 1기압)에 해당되는 지점까지를 행성의 크기로 정의하고,​또 다른 방법은 가시광선이 투과되지 않는 곳까지,즉, 그냥 보이는 데까지를 크기로 정의한다고 한다. ​목성의 경우, 보통 1bar 압력 지점에서의 반지름을 약 71,492km로 정의한다고 한다.

천문학 2024.12.08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태양은 왜 연속스펙트럼을 나타내는가

수소와 헬륨은 각자 고유한 선스펙트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된 태양은,수소와 헬륨의 두 선스펙트럼이 합쳐진 선 스펙트럼 형태의 전자기파를 방출할 것 같다. 하지만 실제로 태양은 연속스펙트럼의 형태로 전자기파를 방출한다. ​수소 핵융합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기파는 감마선으로 매우 에너지가 높은 전자기파인데, 감마선은 태양의 밀도가 매우 높은 중심부에서 여러 번 산란되며 주변 물질에 흡수되고 다시 방출된다. 이 과정에서 감마선은 에너지를 잃으며 진동수가 긴 전자기파로 변환된다.(감마선 → X선 → 자외선 → 가시광선 → 적외선)​

천문학 202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