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과정과 통합과학에서 등장하는 판구조론
여기에 외우고 그냥 넘어가는 해양판과 대륙판의 두께에 대한 내용이 있는데,
해양판이 대륙판보다 얇다는 이유는 설명은 나오지 않습니다.
지구과학II에 등장하는 내용인데,
중딩이 알아듣게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일단 본 내용은 "지각평형설"로 설명을 합니다.
밀도가 물보다 작은 물질이 물에 떠 있는 원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밀도가 작은 물질이 판, 물이 맨틀입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가설이 있는데,
프레트설과 에어리설입니다.
프레트설은 바다와 육지를 구성하는 물질의 밀도가 다르다는 점에서.
에어리설은 고도가 높은 육지 지각의 깊이가 더 깊다는 점에서 맞습니다.
두 가설 모두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리다는 얘기입니다.
물 위에 나무도막이 떠 있있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 그림으로 산맥과 같이 높은 고도를 갖는 지각이 왜 깊은 지각을 갖는지 설명이 될 것 같고,
두 이론 모두 보상면의 개념이 등장하는데,
압력(무게)가 같은 점을 연결한 선(면)을 말합니다.
위 그림을 보면 A점의 무게와 B점의 무게는 같습니다.
(정확히는 압력)
A지점은 밀도가 작은 대륙 지각의 무게만 고려하면 되고,
B지점은 밀도가 큰 해양지각과 그 밑에 밀도가 더 큰 맨틀,
그리고 물의 무게를 더한 무게가 됩니다.
A점은 높은 산이기 때문에 높이가 더 높아 밀도가 작아도
두께(h1)가 커서 무게가 크고,
B지점은 밀도가 큰 해양지각과 맨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해양지각이 두껍지 않아도 무게가 A지점의 무게와 같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의 두께가 다르게 됩니다.
결국 물리 법칙에 의한 결과인거죠.
'지구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서 가장 깊은 구멍 (4) | 2025.01.04 |
---|---|
감휘각흑사정석 - 암석과 광물을 배우는 이유 (0) | 2024.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