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3

세상에서 가장 깊은 구멍

지구 내부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직접적인 방법과 간접적인 방법으로 나뉘는데,직접적인 방법은 시추가 대표적입니다. 땅을 직접 파내려가면서 지구의 지질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달에도 날라가는 과학기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땅속에 깊이 들어가는 일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가장 깊게 시추한 사례는,코라 초심도 시추공(Кольская сверхглубокая скважина)입니다.과거 소련이 코라 반도(사진 빨간 부분)에서 1970년에서 1994년까지 24년간 12,226m를 파내려갔습니다.해양지각인 경우에는 맨틀도 접할 수 있는 깊이지만,대륙지각에서 시추를 했기 때문에 맨틀까지 도달하지는 못하고 대륙지각의 1/3정도까지만 파냈습니다.직경은 23cm 정도로 굉장히 작습니다. 뚜껑 닫아 놨네요.  마리아나..

지구과학 2025.01.04

감휘각흑사정석 - 암석과 광물을 배우는 이유

중1제대로 과학을 배우기 시작하는 이 시기에,가장 먼저 배우는 과학이 암석과 광물입니다. ​근데 지금 생각해봐도하나도 중요해보이지 않는 암석과 광물을 왜 배우는걸까?사실, 공대에 진학한다한들 암석과 광물을 배우는 학과는 거의 없습니다.​그런데 왜 저딴걸 배우는거지? 이런 생각이 드는데,광물과 암석을 배우는 이유는 화합물을 배우기 위한 빌드업이라 생각합니다. ​암석을 이루는 것은 광물이기 때문에,암석은 구성요소보다 만들어지는 과정(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이 중요하고,광물은 광물을 구성하는 원소와 구조가 중요합니다.그리고 감람석, 휘석, 각섬석, 흑운모, 사장석, 정장석, 석영이라는 조암광물은결국 규소(실리콘)와 산소가 결합된 화합물입니다.지각을 구성하는 원소의 대부분이 규소와 산소이고,이 규소와 산소가 ..

지구과학 2024.12.08

대륙판이 해양판보다 더 두꺼운 이유

중1과정과 통합과학에서 등장하는 판구조론여기에 외우고 그냥 넘어가는 해양판과 대륙판의 두께에 대한 내용이 있는데,해양판이 대륙판보다 얇다는 이유는 설명은 나오지 않습니다.지구과학II에 등장하는 내용인데, 중딩이 알아듣게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일단 본 내용은 "지각평형설"로 설명을 합니다.밀도가 물보다 작은 물질이 물에 떠 있는 원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밀도가 작은 물질이 판, 물이 맨틀입니다. 여기에는 두 가지 가설이 있는데,프레트설과 에어리설입니다.  프레트설은 바다와 육지를 구성하는 물질의 밀도가 다르다는 점에서.에어리설은 고도가 높은 육지 지각의 깊이가 더 깊다는 점에서 맞습니다.두 가설 모두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리다는 얘기입니다. ​물 위에 나무도막이 떠 있있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 그림으..

지구과학 202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