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7

코피는 정맥혈인가 동맥혈인가

코에서 나오는 혈액은 코 내부의 혈관 분포와 출혈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코에는 얇은 혈관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키셀바흐 혈관얼기(Kiesselbach plexus)이라고 불리는 혈관들이 모여 있습니다.*얼기: 거미줄이나 그물처럼 얽혀 있는 것​ 코피는 그 부위에서 주로 발생하는 출혈입니다.이 부위에는 동맥과 정맥이 얇게 엮여 있기 때문에출혈 시 두 가지 혈액이 모두 포함됩니다.​단, 출혈이 깊은 부위에서 발생하면 동맥혈의 비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생명과학 2025.04.22

뼈는 용암에 녹는가?

녹을 수도 있고, 안녹을 수도 있고! 뼈는 화합물로써 유기질(탄소화합물)과 무기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유기질은 콜라겐이 대표적으로 단백질이기 때문에 열에 민감하고, 300°C~400°C에서 분해됩니다.무기질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5(PO4)3OH)라는 물질로, 우리 말로는 수산화인회석으로 불리웁니다. 녹는점은 1100°C 정도 됩니다.화장터에서 800°C~1200°C의 온도에서 화장을 하는데 뼈의 무기성분은 남게 됩니다. 용암의 온도는 700°C~1200°C의 온도를 가집니다.용암의 온도와 뼈의 녹는점이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결국 뼈는 용암에 녹을 수도있고 녹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생명과학 2025.01.03

세포분열 전 간기에서 핵안의 작은 점은 뭐임?

핵 안에 보면 작은 점이 있습니다. 그려놓은 교재도 있고, 아닌 교재도 있습니다.간기에서는 뚜렷하게 보이는데, 핵분열하면서 사라집니다. 그 작은 점은 '인'에 해당합니다. 인(仁, 영어: nucleolus) 또는 핵소체(核小體)는 세포소기관의 하나인 세포핵 내부에 있는 또 다른 소기관이다. 대부분의 식물 및 동물 세포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핵소체를 지니고 있다. 세포핵 내부의 핵질로부터 핵소체 내부를 구분 짓는 막은 따로 존재하지는 않는다. 핵소체는 단백질과 RNA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보솜 RNA 등의 핵산 역시 지니고 있다. 이는 핵소체에서 리보솜을 만들고 성숙시키기 때문이다. 리보솜 생산 외의 다른 기능 역시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위키피디아세포 소 기관 중에 하나입니다. 세포 분열 때는 ..

생명과학 2024.12.08

상동염색체의 이해 homologous chromosomes

상동 相同 相 서로 상同 같을 동homologous동종의, 일치하는​서로 같은 염색체라는 의미... (끝까지 읽어야)​하나는 엄마한테서 온 염색체나머지 하나는 아빠한테서 온 염색체​실제로 같은 염색체는 아니고,우리에게는 엄마한테 받은 23개 염색체, 아빠한테 받은 23개 유전자기 있는데,엄마한테 받은 1번 염색체, 아빠한테 받은 1번 염색체엄마한테 받은 2번 염색체, 아빠한테 받은 2번 염색체엄마한테 받은 3번 염색체, 아빠한테 받은 3번 염색체....엄마한테 받은 22번 염색체, 아빠한테 받은 22번 염색체엄마한테 받은 성염색체, 아빠한테 받은 성염색체​위와 같이 같은 염색체 번호의 쌍을 상동염색체라 한다.즉, 1번 염색체 쌍, 2번 염색체 쌍... 성염색체쌍을 상동 염색체라고 한다.(참고로 염색체 번..

생명과학 2024.12.08

위장이 염산에 버틸 수 있는 이유

위장에서는 소화를 돕기 위해 염산이 분비됩니다.염산은 강산이기 때문에 분명 위를 손상시킬텐데, 어떻게 위는 염산에 버틸까?​뮤신(mucin)일단 위에서는 뮤신이라는 점액이 염산으로부터 위를 보호해 줍니다. 위벽과 염산 사이에 점액층이 존재하여 염산이 위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막아줍니다. 뮤신(mucin)은 점액성 생화학물질로 동물계와 식물계에서 합성되는 단백질로조직의 표면이나 피부같은 몸의 표면을 보호해줍니다. 달팽이나 미꾸라지가 미끈 거리는 이유도 이 뮤신 때문입니다. 식물에서는 여러분들이 싫어하는 마, 연근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침이 끈적이는 이유도 뮤신 때문입니다.  2. 세포재생속도위벽 세포는 1분에 50만개씩 새로운 세포가 만들어져빠르게 손상된 세포를 대체합니다. 위산에 의해 위벽이 손상되더라..

생명과학 2024.12.08

코피는 정맥혈인가 동맥혈인가

키셀바흐 혈관얼기(Kiesselbach plexus) 코에서 나오는 혈액은 코 내부의 혈관 분포와 출혈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코에는 얇은 혈관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키셀바흐 혈관얼기(Kiesselbach plexus)이라고 불리는 혈관들이 모여 있습니다.*얼기: 거미줄이나 그물처럼 얽혀 있는 것 코피는 그 부위에서 주로 발생하는 출혈입니다. 이 부위에는 동맥과 정맥이 얇게 엮여 있기 때문에출혈 시 두 가지 혈액이 모두 포함됩니다.​단, 출혈이 깊은 부위에서 발생하면 동맥혈의 비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생명과학 202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