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7

파란하늘 붉은노을 feat.레일리산란(Rayleigh scattering)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현상과 붉은노을이 붉게 보이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레일리 산란 (Rayleigh scattering)입니다. 레일리 산란은 아주 작은 입자에 빛이 닿으면 산란되는 현상인데,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될 확률이 높다는 이론입니다. 위 식은 분자(molecules)에서 발생하는 레일리 산란에 대한 식으로,레일리 산란의 강도는 빛의 파장의 4제곱의 역수에 비례합니다.그러므로 청색광이 레일리 산란이 일어날 확률이 적색광에 비해서 높습니다. 지구는 대기로 덮혀 있는데, 공기 분자에 의해서 레일리 산란이 발생합니다. 태양광이 공기분자에 의해 레일리 산란이 발생하게 되고,다른 빛들보다 파장이 짧은 청색광이 이 분자들에 의해 산란이 발생하면,사방으로 산란이 됩니다. 물론 이 빛은 사방으로..

물리학 2025.05.04

코피는 정맥혈인가 동맥혈인가

코에서 나오는 혈액은 코 내부의 혈관 분포와 출혈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코에는 얇은 혈관이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키셀바흐 혈관얼기(Kiesselbach plexus)이라고 불리는 혈관들이 모여 있습니다.*얼기: 거미줄이나 그물처럼 얽혀 있는 것​ 코피는 그 부위에서 주로 발생하는 출혈입니다.이 부위에는 동맥과 정맥이 얇게 엮여 있기 때문에출혈 시 두 가지 혈액이 모두 포함됩니다.​단, 출혈이 깊은 부위에서 발생하면 동맥혈의 비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생명과학 2025.04.22

산화수 酸化數 oxidation number

산화수는 하나의 물질(분자, 이온 화합물, 홑원소 물질 등) 내에서 전자의 교환이 완전히 일어났다고 가정하였을 때 물질을 이루는 특정 원자가 갖게 되는 전하수를 말하며 산화 상태라고도 한다. ​어떤 물질에서 원소의 산화정도를 나타내는 가상적인 전하량이므로 반드시 이온전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보통 복잡한 반응에서 산화와 환원을 판단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원자에서 화학 변화를 통해 산화수의 증가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산화라고 칭하며, 그 반대로 산화수가 감소될 경우에는 환원이라고 이야기 한다. ​즉 반응물과 생성물을 이루는 원소들이 반응 후 산화수가 증가하면 그 원소는 산화된 것이며, 산화수가 반응 후 감소하면 그 원소는 환원된 것이다. 형식적으로 전하가 끌려갔다는 것을 표현한다.​이온 결합에서는 전자..

화학 2025.04.22

[사고력확장] 산화철의 종류 + 시아노박테리아 + 호상철광층

산화철은 종류가 많다. 철이 다양한 산화수를 가지고 있기에 생성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산소와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FeO (산화제일철, 철(II) 산화물)색상: 검은색특징: 자연에서 순수하게 존재하기 어려움산화수: +2생성환경: 산소가 부족한 환경 (불의 중심에서 불완전 연소 혹은 용광로 내부) Fe₂O₃ (산화제이철, 철(III) 산화물)색상: 붉은색특징: 일반적인 '녹'에 해당, 적철석산화수: +3생성환경: 산소가 풍부한 환경 (일반적인 녹) Fe₃O₄ (자철석, 철(II,III) 산화물)색상: 검은색특징: 자성을 가짐산화수: +2, +3 혼합생성환경: 부족하지도 풍부하지도 않은 환경, 고온에서 천천히 산화될 때 생성 사고력 확장 호상철광층은 FeO로 구성된건가?지각에는 핵만큼은 아니어도 철이..

화학 2025.04.22

[사고력확장]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 + 모세관 현상(capillary action)

크로마토그래피용매에 따라 물질의 이동 속도가 다르다는 특성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방법...그럼 용매는 어떻게 중력을 거슬러 거름종이를 올라갈 수 있을까?분명 아래로 중력이 작용하고 있잖아?! 용매가 거름종이를 올라갈 수 있는 이유는,거름종이-용매 간에 작용하는 접착력(adhesion)과 용매 간에 작용하는 응집력(cohesion) 때문이다.거름종이는 주 성분은 셀룰로오스(cellulose)로포도당이 그물처럼 연결된 구조이다. 모세관 현상이 셀룰로오스와 물과 같은 용매 간에 이 두 힘이 작용한다.모세혈관이 원리인데,접착력은 셀룰로오스와 용매 간에 끌어당기는 힘이고,응집력은 용매 간에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다. 셀룰로오스는 그물 같은 구조인데, 빈 공간으로 용매가 셀룰로오스와의 접착력에 의해중력을 거스..

카테고리 없음 2025.04.22

과망가니즈산(HMnO₄)의 "과"는 무슨 의미?

화학에서 "과(過, 지나치다)"는 특정 화합물에서 원소의 산화수가 더 높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산화가 더 되었구나... 생각하면 됩니다.(더 늙었구나 ㅋㅋㅋ)예를 들어, 과망가니즈산(HMnO₄)에서 "과망가니즈"는 망가니즈(Mn)의 산화수가 높은 상태를 가리킵니다. 망가니즈산(H₂MnO₄): 망가니즈의 산화수 +6과망가니즈산(HMnO₄): 망가니즈의 산화수 +7 (더 높은 상태, 더 산화된 상태)즉, "과(過)"는 같은 계열의 화합물 중에서도 산화수가 더 높은 형태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더 산화된 상태입니다.비슷한 예로 "과염소산(HClO₄)"도 있으며, 이는 염소산(HClO₃)에 비해 염소(Cl)의 산화수가 가장 높은 (+7) 상태를 의미합니다. 산화수의 의미는 다음 포스팅에서 더 자세히 알아..

용어 2025.03.28